'운영_설치/리눅스_유닉스' 카테고리의 글 목록 (13 Page)
어쩌다 한번 하는 삽질
운영_설치/리눅스_유닉스
젠투 로케일 설정
2011.04.13
[출처] http://chronon.egloos.com/407533 기본 설정으로 설치하면 export LANG=ko_KR.utf8 이나 export LANG=ko_KR.eucKR 만 .bashrc나 .xinitrc 등에 적어주면 된다. 이렇게 할 수 있는 것은 라이브러리에 리눅스가 다룰 수 있는 모든 로케일의 정보를 담게 되어 있기 때문인데, 이렇게 하면 시스템을 빌드하는 시간도 매우 길어지고 라이브러리의 크기도 커지기 때문에 비효율적이고 젠투 리눅스의 장점을 살리지 못한다. 로케일에 관한 정보는 보통 커널과 glibc에 포함된다. 커널 컴파일시에 선택하는 로케일 정보는 파일 시스템에서 다룰 때의 charset을 설정하는 것으로, 한글로 된 파일명을 다룰 필요가 있을 때는 (특히 fat나 ntfs파일 ..
운영_설치/리눅스_유닉스
부팅시 자동 파일 시스템 검사
2010.10.28
파티션을 특정 회수 이상 마운트 하면 자동으로 파일 시스템 검사를 하게 된다. 이 때 이 횟수를 늘리고자 할 경우 tune2fs -c NUM dev 라고 해주면 dev가 NUM 만큼 마운트 되었을 때 자동으로 체크를 해준단다.... NUM의 숫자가 몇까지 가능할까 궁금해서 테스트... 15999 까지 가능하더군... 항상 켜두는 녀석이 아닌 내 리눅스 박스.. 그런데 이놈 때문에 부팅 지연(파일 시스템 체크 하느라)이 자주 발생한다. 그래서 이 횟수를 왕창 늘리고자 찾은 방법... 그런데 15999 까지면 좀 적은거 아닌가...
운영_설치/리눅스_유닉스
vfat filesystem의 mount 에러
2010.09.19
커널을 빌드 할때 dos/fat/nt filesystem 관련 옵션을 대충 줬더니 usb 메모리 를 마운트 할때 에러가 난다. # mount -t vfat /dev/sdb1 /mnt/cdrom mount: wrong fs type, bad option, bad superblock on /dev/sdb1, missing codepage or helper program, or other error In some cases useful info is found in syslog - try dmesg | tail or so 친절하게도 dmesg를 보라고 설명을 해주네.. 해서 dmesg를 보면 sd 3:0:0:0: [sdb] Assuming drive cache: write through sd 3:0:0:0: ..
운영_설치/리눅스_유닉스
svn + ssh 사용 예...
2009.10.17
* import (WP0901KS07) namacin@neptune ~/Working $ svn import mmi svn+ssh://localhost/home/namacin/Repository/IT7200_MMI/trunk namacin@neptune ~/Working $ rm -rf mmi * checkout namacin@neptune ~/Working $ svn co svn+ssh://localhost/home/namacin/Repository/IT7200_MMI/trunk mmi namacin@neptune ~/Working $ cd mmi * library addup namacin@neptune ~/Working/mmi $ find sylibs -type f -name '*\.[a]' | x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