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SH4

rclone + vfs 설정 rclone+구글드라이브.txt * '구글 클라우드 스토리지' 와 '구글 드라이브' 는 설정 방법이 다른듯 하다. 내가 필요한건 구글 드라이브를 연결하는 방식!!! 구글 클라우드 스토리지 설정 https://hjm79.top/rclone-mount/# 구글 드라이브 설정 https://blog.dalso.org/article/linux-rclone-vfs-마운트를-이용한-클라우드디스크-마운트-속도 1.59.0 을 설치 했는데 인증 방식이 바뀜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nas/17347704 에서 댓글 확인 필요!!! 윈도우 터미널/cmd/ps 에서 ssh -L 53682:127.0.0.1:53682 nas_id@nas_ip 여기에서 rclone config 를.. 2022. 7. 24.
ssh로 github 사용하기 https://www.lainyzine.com/ko/article/creating-ssh-key-for-github/ GitHub 접속 용 SSH 키 만드는 방법 GitHub의 저장소를 사용할 때 HTTPS과 SSH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SSH 프로토콜은 공개키 방식으로 안전하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공개키를 만드는 방법부터, GitHub에 www.lainyzine.com * https 방식 git clone https://github.com/계정/프로젝트.git * public key 생성 # ssh-keygen -t rsa -b 4096 -C "namacin@gmail.com" * ssh 방식 git clone git@github.com:계정/프로젝트.git 물론 gi.. 2021. 1. 19.
git 과 ssh putty에서 생성한 private키를 git-scm 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에서는 인식을 하지 못 한다. filezilla, sftp netdrive와 몇몇 다른 프로그램에서는 잘 인식하드만... 그래서 왜 안되는줄 몰랐다... 아무튼 putty의 ssh-keygen에서 는 conversion -> export openssh로 변환해서 저장한 파일을 사용해야한다. 결국은 몽땅 다 이 파일을 쓰자... 2019. 6. 14.
ssh 사용 로컬 머신이 private 키를 가지고 리모트 머신이 authorized_keys 파일에 public 키를 저장한다. 내 서버(리눅스머신)에서 다른 ssh 서버에 접속할 때는 머신도 리모트가 아닌 로컬이 됨을 명심하자.... 내 머신에도 다른 머신에 접속하기 위한 private 키가 존재해야한다는 소리다 이 키와 쌍으로 생성된 public 키가 다른 리모트 머신의 authorized_keys 파일에 설정되어야 한다. - 로컬이 윈도우일 경우 putty를 이용하자 keygen을 실행하여 private 키를 저장하고 public 키를 복사하여 리모트 머신의 authorized_keys에 저장한다. - 로컬이 리눅스일 경우 # ssh-keygen -t rsa -b 4096 -C "account@host" 패스.. 2019. 6. 10.